연해주 남북한 식량기지 구축 전진대회에 즈음하여 연해주 남북한 식량기지 구축 전진대회에 즈음하여 (경과보고서) 재단법인 국제농업개발원 연구소장 경제학ㆍ농경영학 박사 李 秉 華 (2015. 10. 15.) ● 연해주는 한민족의 땅이니 빨리 확보하라 보고자는 한ㆍ소 수교(1990년 9월 30일) 두 달 전 연해주 우수리스크에 소재한 「프리모리예(연.. 연해주 농업개발 전략 2015.10.14
연해주 영농사업단 (2001. 5.) 한갑수 농림부 장관 신년 대통령 업무보고서 발표한 러시아 연해주 땅을 남북한 공동으로 개발하는 '한반도 농정시대'의 전형 창출 한국 전답 195만ha를 능가하는 250만ha 규모의 광대한 연해주로의 영농 프론티어 정신 고취 대북 지원차 태국(쌀), 중국(옥수수)로부터 수입하는 양곡수입 방식을 .. 연해주 농업개발 전략 2010.03.16
남북 공동개발에 따른 기대효과 (2001. 5.) 첫째, 경종농업 개발시 식량생산에 따른 우리측의 식량안보 구축, 북한측의 식량난 해소라는 공동의 이익 둘째, 기존 중국 진출 기업의 실패 요인중의 하나는 초기 예상보다 비싼 노동력. 북한 노동력의 이용이 가능하다면, 생산비 절감효과 셋째, 우리측이 이미 확보한 농업개발사업에 북한.. 연해주 농업개발 전략 2010.03.16
남북공동개발시 생산물 처리방안 (2001. 5.) 남북한이 제 3국을 대상으로 생산한 생산물 처리에 대한 몇 가지 방안을 고려하여 보면 생산물 국내 반입에 대해서, 제 3국에서 생산된 생산물이지만 남북간의 계약을 통해 공동 생산된 것이므로, 북한지역에서 생산된 생산물과 동일한 자격을 부여하는 방법 외국의 사례를 고려하여, 원양선.. 연해주 농업개발 전략 2010.03.16
남북한 공동사업으로 추진되는 농업개발 사업 항카호 주변의 벼농사 식용버섯 인공재배 사업 장뇌삼 재배농장 사슴농장 공동사업 밍크공동사육농장 관광농장 사업 화우(흑우 및 황우)의 송아지 생산사업 연해주에는 용배수로가 완벽한 벼농사단지가 벼시험장을 포함하여 14곳이 있으며, 이곳에서는 북한 노동자들이 5월부터 11월까지 계절근로자.. 연해주 농업개발 전략 2010.03.16
연해주 지역현황 면적 16만5천9백㎢ - 남북한 면적보다 약간 작음 위치 북쪽은 하바로브스키크라이와 경계, 동쪽은 바다, 서쪽은 중국 흑룡강성과 연변조선족자치주와 국경, 남쪽은 북한과 17㎞의 두만강과 국경 천연자원 해양생물자원, 화학공업원료 채취, 비철금속, 목재자원이 무궁무진한 풍부한 천연자원 지역 산업.. 연해주 농업개발 전략 2010.03.16
극동러시아 천연자원개발 극동러시아 천연자원개발 (2001. 5.) (재)국제농업개발원은 한·소 수교이전부터 오늘까지 극동러시아 농수산자원개발에 매진한 결과 남북한의 부족한 식량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면적의 농지를 확보하여 두고 있으며, 이중 벼농사가 가능한 농지(논)들은 한국의 기업과 농민단체가 영농을 하도록 컨설.. 연해주 농업개발 전략 2010.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