헷갈리는 주변 강대국들의 질서와 우리의 대응 헷갈리는 주변 강대국들의 질서와 우리의 대응 (재)국제농업개발원 연구소장 이병화 (2013.12.10.) 작금의 정세가 영락없는 100년 전 대한제국 마지막 모습과 너무 닮았다. 정치는 사분오열 난장판이었고, 외세에 줄서기로 기둥뿌리 썩는 줄 몰랐다. 나라 팔아먹은 후손은 지금도 떵떵거리고 .. 국내문제, 그리고 정책제언 2013.12.10
백색혁명과 박정희 대통령, 그리고 나 (Ⅳ) 백색혁명과 박정희 대통령, 그리고 나 (Ⅳ) 李 秉 華 재단법인 국제농업개발원 연구소장 농경영학ㆍ경제학 박사 ● 대선에 뛰어들다 2011년 설날이 지난 얼마후, 정수장학회 회장이신 故최필립 대사께서 만나자는 연락이 있어 경향신문사 11층의 사무실로 찾아갔습니다. 최 대사님은 제가 .. 국내문제, 그리고 정책제언 2013.11.13
에너지 위기시대 대안은 없는가? 에너지 위기시대 대안은 없는가? (시베리아 GAS 도입에 따른 경제적 전망) 재단법인 국제농업개발원 연구소장 이병화 Ⅰ. 남․북한 주변 4강국의 정치질서 현황 1) 하나만 선택한다면...? 미국은 한국보다 일본을, 중국은 한국보다 북한을, 러시아는 북한보다 한국을, 일본은 남․북 .. 국내문제, 그리고 정책제언 2013.10.21
산림정책 속에 창조경제 있다 산림정책 속에 창조경제 있다 (재)국제농업개발원 연구소장 이병화 한국은 국토면적대비 65%가 산림지(山林地)이다. 우리의 산야(山野)를 둘러 본 러시아 산림과학자는 실패한 산림정책의 결과라고 혹평하고, 중국과 몽골의 산림과학자들은 매우 성공한 사례라고 칭찬한다. 극과 극의 평.. 국내문제, 그리고 정책제언 2013.07.19
숨은 인재 발굴도 창조경제다 숨은 인재 발굴도 창조경제다 재단법인 국제농업개발원 연구소장 경제학∙농경영학 박사 李 秉 華 ● Made in 청계천 “하늘의 등대” 세계를 밝히다 이것은 지난 6월 4일 중앙일보 경제판 J리포트에 났던 기사 제목이다. 내용을 요약하면 2000년에 김포공항에 큰 벼락이 쳐 핵심장비 모.. 국내문제, 그리고 정책제언 2013.07.19
이것이 박근혜 대통령의 창조경제다 이것이 박근혜 대통령의 창조경제다 (창조경제란 문명경제와 문화경제가 교잡하여 창출한 잡종강세 경제다) 재단법인 국제농업개발원 연구소장 농경영학ㆍ경제학 박사 李 秉 華 (2013. 4. 4.) 필자가 사는 집 건너편에 세계 최고의 삼성반도체 기흥공장이 있다. 20년전부터 이곳을 매일 쳐.. 국내문제, 그리고 정책제언 2013.04.19
농정 패러다임 바뀌어야 한다! 농정 패러다임 바뀌어야 한다! 재단법인 국제농업개발원 연구소장 농경영학ㆍ경제학 박사 李 秉 華 (2013. 3. 19.) ● 21세기 농촌 새마을운동 다시 추진해야 한다 한국은 이제 원조를 받던 나라(수혜국)에서 원조를 주는 나라(공여국)로 바뀐, 세계 역사에 유일한 나라가 되었습니다. 또 일방.. 국내문제, 그리고 정책제언 2013.04.19
박근혜 후보의 특별한 3가지 박근혜 후보의 특별한 3가지 재단법인 국제농업개발원 연구소장 경제학ㆍ농경영학 박사 李 秉 華 (2012. 11. 12.) ● 여성 대통령 탄생은 건국이래 최고의 정치쇄신이다. 박근혜 후보는 새누리당 대선후보 결정 이후 아버지인 박정희 대통령과 절친했던 前일본수상 나카소네 야스히로(中曾.. 국내문제, 그리고 정책제언 2012.11.12
12.19 대선도 결국 3緣(지연ㆍ혈연ㆍ학연)에서 결정될 것이다 12.19 대선도 결국 3緣(지연ㆍ혈연ㆍ학연)에서 결정될 것이다 (재)국제농업개발원 연구소장 李 秉 華 (2012. 8. 20.) 많은 사람들이 년말 대선은 2030세대에서 가름될 것으로 전망한다. 그러나 2030세대도 3緣의 울타리 속에 있다. 다시말해 접시속의 파도와 같은 존재일 뿐이라는 것이다. 3緣의 .. 국내문제, 그리고 정책제언 2012.08.20
박근혜 대선후보가 결코 고치지 못할 2가지 病 박근혜 대선후보가 결코 고치지 못할 2가지 病 渤 海 仁 (2012. 7.30.) 1. 결과보다 과정을 더 중요시 하는 병(?) 국회의원은 당선되어도 선거법 위반으로 낙마하는 경우가 흔히 있다. 지난 4.11 총선에서 선거법 위반으로 선관위에 고소ㆍ고발된 당선자가 무려 70여명이라니 모르긴 해도 이 중.. 국내문제, 그리고 정책제언 2012.07.30